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지속가능보고서77

[취업 준비하는 자녀에게 레벨업! 스펙업!! 할 수 있는 특별한 선물을~!!! (ESG 국제심사원/ ISO 14001 심사원)] <PART 3> 29편 - KB금융그룹의 ESG 경영과 전략 29편 - KB금융그룹의 ESG 경영과 전략 1. Environment KB금융그룹의 ESG 전략목표는 ‘환경·사회 책임경영과 좋은 지배구조 확산 을 통한 지속가능한 가치 및 고객 신뢰 제고’이다. 이를 위해 탄소중립 달성 과 ESG상품·투자·대출이라는 전략방향을 설정하고 체계적인 ESG 경영을 추진하고 있다. 먼저 환경부문의 전략을 살펴본다. 1) 탄소중립 선언 – KB Net Zero S.T.A.R. 중장기 추진전략인 KB Net Zero S.T.A.R는 친환경 기업을 육성·지원하여 저탄소 경제 전환을 가속화하고 파리기후협약의 적극적 이행을 통해 환경을 복원하는 전략이다. 감축목표는 PCAF 방법론 기반으로 탄소배출량을 측정 한 후 SBTi 방법론에 따라 설정하였다. 2) 재생에너지 전환 선언 202.. 2023. 12. 30.
<PART 3> 28편 - 풀무원의 가치체계와 ESG [취업 준비하는 자녀에게 레벨업! 스펙업!! 할 수 있는 특별한 선물을~!!! (ESG 국제심사원/ ISO 9001 심사원)] 28편 - 풀무원의 가치체계와 ESG 1. 성공적인 ESG경영의 3요소 풀무원이 최고수준의 ESG 평가를 받은 원동력은 환경적 가치창출에 대한 경영이념과 구체적인 전략, 그리고 진정성을 바탕으로 한 지속적 개선활동 의 실행을 들 수 있다. 1) 성공적인 ESG 경영의 3가지 요소 2) 풀무원의 가치체계 풀무원의 경영이념은 ‘이웃사랑, 생명존중’의 풀무원정신에서 비롯한 바른 먹거리로 사람과 지구의 건강한 내일을 만드는 기업의 미션, 고객 가치 제 안인 핵심전략, 그리고 조직원의 일하는 방식인 핵심가치로 완성된다. (1) 풀무원의 핵심가치 (2) 전략·운영체계 및 지속적 개선 ‘바른먹거리로 사람과 지구의 건강한 내일을 만드는 기업ʼ이라는 미션에는 고객(사회)과 지구환경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가치 창출의 개념이.. 2023. 12. 29.
[취업 준비하는 자녀에게 레벨업! 스펙업!! 할 수 있는 특별한 선물을~!!! (ESG 평가사/ ESG 국제심사원)] <PART 3> 27편 - CJ제일제당의 지속가능경영 사례 27편 - CJ제일제당의 지속가능경영 사례 1. 27편 - CJ제일제당의 지속가능경영 사례 CJ제일제당은 지속가능한 성장의 핵심이 이해관계자들의 지지와 공감이라는 철학 아래 자연에서 소비자 식탁으로, 다시 자연으로 되돌리는 ‘Nature to Nature’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환경영향의 최소화, 사회적 리더십 확보, 초격차 역량 강화를 목표로 다양한 전략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 전략과제 및 Quick Win 과제 지속가능한 환경, 건강과 안전이라는 핵심가치와 연계하고 대외중요성, 비즈니스 영향을 토대로 모두 8가지의 전략과제를 도출하였다. 또한 규제 동향을 반영하여 지속가능한 환경경영체계 구축, 인권경영 프로세스 확립이라는 2개의 Quick Win 과제를 도출하여 추진 중이다. 2. ESG.. 2023. 12. 28.
<PART 2> 18편 -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작성 포인트 [ ISO 14001 심사원보/ ISO 17024 ESG 심사원보 ] 18편 -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작성 포인트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조직의 지속가능경영 활동 및 성과를 공개하는 보고 서로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사항을 글로벌 가이드라인의 보고 원칙에 기반 하여 작성한다. 보고서의 형태는 인쇄물, 홈페이지, 웹보고서 등이 있으며 회사 일반 공시물과의 차이점은 다음의 4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필요성 기업의 신용평가 및 등급평가에 지속가능경영 성과가 반영되며, 공시 의무 화 및 규제가 강화되면서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의 활용도가 지속적으로 높아 지고 있다. 2. GRI와 SASB 2021년 기준 국내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기업은 모두 206개로 집계된다. KSA 통계에 따르면 2022년 4월 기준, 보고서의 88%는 GRI 표준을 기반으 로 하고 있으나 TCFD,.. 2023. 12. 19.
[ISO/IEC ESG 심사원/ ISO 14001 심사원보] <PART 2> 11편 - ESG 경영의 주요 이슈, 금융. 공급망. 보고서 11편 - ESG 경영의 주요 이슈, 금융. 공급망. 보고서 각국 정부에서는 수준 높은 지속가능금융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강력하게 구체화·규제화하고 있다. 이제 자본의 흐름은 텍소노미(Taxonomy)에 부합되는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로 향하고 있다. 국내 중소·중견기업들도 대기업과의 ESG 협력 활동과 공시 및 보고서 작성을 통해 내부 시스템 개선 및 역량 강화에 힘써야 할 때이다. 1. 국내외 ESG 금융 동향 1) TCFD 권고사항 2017년 FSB(금융안정위원회)가 발표한 TCFD 권고안은 기후변화를 재무 영역에 통합하는 활동을 주류화시킨 가장 강력한 표준이다. TCFD 권고안 의 4가지 핵심요소는 거버넌스, 전략, 리스크 관리, 매트릭스다. 2021년 7 월 기준 2,366개 글로벌 기관이 TCFD .. 2023. 12. 12.
<PART 1> 10편 - ESG 경영과 기업 리스크 관리 [ISO/IEC ESG 심사원/ ISO 9001 심사원보] 10편 - ESG 경영과 기업 리스크 관리 1.ESG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 리스크 관리란 기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와 관련된 리 스크 또는 기회라고 정의할 수 있다. 최근 글로벌 리스크와 투자자의 관심, 정보공개 및 규제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기업의 리스크 관리는 매우 중요 해지는 추세이다. 1) 글로벌 리스크의 증가 2021년 세계경제포럼은 경제, 환경, 지정학, 사회, 기술 등 5개 영역에서 가장 주의해야 할 글로벌 리스크를 예측하였다. 현존하는 위험으로는 감염병 확산, 생계 위기, 극심한 기후변화 등 사회나 환경 리스크가 상위에 랭크되었다. 또한 3~5년 내의 위험으로는 자 산 버블 증폭, 물가불안, 원자재 가격 충격, 부채위기 등 중소·중견기업이 우려할만한 리 스크가 다수.. 2023. 12.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