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지속가능보고서77

[ISO 17024 ESG 심사원/ ISO 19011 심사원스킬] <PART 1> 5편 - 기업과 인권, 국내외 동향과 실사 가이드라인 5편 - 기업과 인권, 국내외 동향과 실사 가이드라인 1. 유엔 글로벌콤팩트 (UN GC, UN Global Compact) 환경, 사회 이슈 관련하여 기업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2000년에는 UNGC(UN Global Compact)가 발족되어 UN 차원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 임을 추진하고 있다. 회원기업들은 인권, 노동, 환경, 반부패 분야의 10대 원칙과 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지속가능발전목표)를 마 련하고 이에 대한 이행보고서 작성을 통해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고 있다. 1) 인권, 노동 측면의 주요 원칙 노동측면의 원칙은 결사의 자유와 단체교섭권 지지, 강제노동·아동노동·고용 및 업무차 별의 철폐 등이 있다. 인권측면에서는 인권보호를 지지하고, 특히 기업이 .. 2023. 12. 9.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ESG 가이드 [ISO 17024 인증심사원] <PART 1> 1편 - 기업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 ESG 1편. 기업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 ESG 1. ESG 경영의 이해 ESG 경영은 이제 기업의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다. 대기업은 물론 중소·중견기업들에게도 ESG 경영은 생존을 넘어 기업의 지속가능한 미래와 성장을 위한 필수 요소로 자리매김하였다. ESG 경영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통해 큰 흐름을 읽고 적극적인 대응을 통해 차별화된 가치와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1) ESG의 의미 ESG는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 배구조(Governance)를 일컫는 말이다. 기업이 활동하는 데 있어서 환경 을 고려하고, 사회적 책임을 고려하고, 지배구조를 개선해야 재무적인 위 험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발전이 가능하다는 철학을 담고 있다. ES.. 2023. 12. 7.
[ISO 17024 ESG 심사원 - 지속가능보고서를 쓸 수 있다!!!] PART 4. ESG 굿 거버넌스 POINT PART 4. ESG 굿 거버넌스 POINT 3. 펩시코 ● 여성 리더십, 고객 가치와 참여 중심의 지속가능경영 거버넌스 20세기 내내 기업의 주된 전략이 코카콜라의 뒤를 바짝 쫓아가는 것이었 던 펩시코가 2000년대 중반 지속가능경영을 핵심 전략으로 삼은 것에는 펩시 코 최초로 여성 CEO가 된 인도 출신 인드라 누이(Indra Nooyi. CEO 재임 기간 2006-2018년)의 영향이 매우 컸다. 인드라 누이는 펩시코가 글로벌 시장에서 코카콜라를 넘을 수 있는 방법은 고객가치에 기반한 지속가능경영을 실행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Good Point 01) 여성 리더십이 제시한 다양성에 기반한 지속가능경영 인드라 누이는 2006년 CEO 취임 후 언론 인터뷰에서 “식음료 시장의 고객이 청 소년과 젊은 .. 2023. 12. 5.
PART 4. ESG 굿 거버넌스 POINT [ISO 17024 ESG 국제심사원] PART 4. ESG 굿 거버넌스 POINT 1. 유니레버 ● 지속가능경영 거버넌스 체계의 교과서 매년 전 세계의 지속가능경영, ESG 분야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글로벌 지속가능성 주요 이슈를 선정하고 어떤 기업과 NPO 가 이러한 지속가능성 이슈에 잘 대응하고 있는지를 조사하는 GlobalScan & Sustainability Report가 있다. 이 리포트에서 2011년부터 2022년까지 11년 동 안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기업이 유니레버이다. 전문가들은 유니레버의 거버넌 스를 비롯한 종합적인 지속가능경영 실행체계가 글로벌 가이드라인이 요구하 는 중요한 포인트들을 교과서적으로 가장 잘 반영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Good Point 01) USLP : 비즈니스와 지속가능경영체.. 2023. 12. 4.
[E.S.G의 G(overnance)] PART 3. ESG 관점의 거버넌스 가이드라인 PART 3. ESG 관점의 거버넌스 가이드라인 1. 실행 가이드라인 1) G20/OECD 기업 거버넌스 원칙, 2015 ❶ 효과적인 기업 거버넌스 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 강화 기업 거버넌스 체계는 시장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제고하고 자원의 효율적 배분 에 기여해야 한다. 기업 거버넌스 체계는 법의 지배 원칙에 부합해야 하고, 효 과적인 감독과 집행을 지원해야 한다. ❷ 주주권리와 주주 평등 대우 및 주요 지분 기능 기업 거버넌스 체계는 주주의 권리행사를 보호하고 이를 활성화할 수 있어야 하며 소주주와 외국 주주를 포함한 모든 주주의 평등대우를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주주권이 침해된 경우 모든 주주에게 효과적인 구제 수단이 보장되어야 한다. ❸ 기관투자자, 주식시장 및 기타 중개기관 기업 거버넌스 체계는.. 2023. 12. 3.
PART 2. ESG 관점의 거버넌스 관리 2편[E.S.G의 G(overnance)] PART 2. ESG 관점의 거버넌스 관리 2편 3. 거버넌스 관리 이슈와 포인트 5) 구성원 및 조직 운영 (1) ESG 관리 이슈 이사회와 경영진이 지속가능경영 실천에 적극적이라고 해도 실무 현장 의 분위기는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구성원들이 ESG와 지속가능경영을 잘 이 해하고 실천의 필요성을 인지할 때, 지속가능경영의 성과를 얻을 수 있다. 구 성원 및 조직 운영과 문화에 지속가능경영을 통합하여 기업 운영과 비즈니스 전체에 지속가능경영을 내재화하는 것이 ‘구성원 및 조직운영’ 영역의 중요한 ESG 이슈이다. (2) 관리 포인트 • 실무자 중심 ESG거버넌스 체계 구축 • 지속가능경영 원칙 및 정책 실행 • 구성원 ESG 인식개선, 실무역량강화 • ESG 캠페인, 프로젝트, 프로그램 실행 • 구성.. 2023. 12.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