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탄소국경세25 [E.S.G의 G(overnance)] PART 3. ESG 관점의 거버넌스 가이드라인 PART 3. ESG 관점의 거버넌스 가이드라인 1. 실행 가이드라인 1) G20/OECD 기업 거버넌스 원칙, 2015 ❶ 효과적인 기업 거버넌스 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 강화 기업 거버넌스 체계는 시장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제고하고 자원의 효율적 배분 에 기여해야 한다. 기업 거버넌스 체계는 법의 지배 원칙에 부합해야 하고, 효 과적인 감독과 집행을 지원해야 한다. ❷ 주주권리와 주주 평등 대우 및 주요 지분 기능 기업 거버넌스 체계는 주주의 권리행사를 보호하고 이를 활성화할 수 있어야 하며 소주주와 외국 주주를 포함한 모든 주주의 평등대우를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주주권이 침해된 경우 모든 주주에게 효과적인 구제 수단이 보장되어야 한다. ❸ 기관투자자, 주식시장 및 기타 중개기관 기업 거버넌스 체계는.. 2023. 12. 3. [ISO ESG 국제심사원] E.S.G의 G(overnance) INTRODUCTION E.S.G의 G(overnance) INTRODUCTION 1. 기업 거버넌스 연대기 2. ESG 관점의 20세기 기업 거버넌스 주요사건 1) 1919년 미국 닷지 vs 포드 소송 자동차 산업에서 독점적 지위를 차지하며 높은 수익을 올린 포드가 종업원 임금 인 상과 소비자를 위한 가격 인하를 이유로 주주에 대한 특별 배당을 실시하지 않자, 주주인 동시에 경쟁사인 닷지가 소송을 제기했고, 법원은 “회사는 주주 이익에 봉 사해야 한다”는 편결문을 제시하며 닷지의 손을 들어줬다. 이 판결문은 ‘기업의 목 적은 주주 이익추구’라는 주주 자본주의의 명제를 만들어 냈다. 2) 1953년 하워드 보웬 기업가의 사회적 책임 출간 미국의 경제학자인 하워드 보웬(Howard R. Bowen)이 「기업가의 사회적 책임」 을.. 2023. 12. 1. E.S.G의 S(ocial) DE&I Focused PART 2편 [ESG 국제심사원은 ESG 기업 외부감사를 할 수 있습니다~!!!] PART 3. S(ocial) DE&I Focused 2편 3. 글로벌 기업 사례 연구 3) 글로벌 평가기관 S 우수기업 ① IBM - 다양성 혁신 캐치프레이즈 “Be Equal(동등해지자)” IBM은 다양성을 평가하는 다수 기관으로부터 높은 점수를 받고 있는 기업 중 하나다. 미국 인기 잡 지인 〈워킹마더 매거진(Working Mother Magazine)〉은 매년 설문과 자체 조사를 통해 워킹맘 이 일하기 좋은 기업 Top 100을 선정한다. 2020년 이 평가에서 IBM은 상위 10위에 이름을 올렸 으며, 더불어 유급 육아휴직 보장과 폭넓은 육아 지원 등으로 워킹대디(Working Daddy)를 위한 2020년 최고 기업으로도 선정됐다. 일본 〈닛케이우먼(Nikkei woman)〉에서 여성 및 임원.. 2023. 11. 30. [ISO/IEC 17024 ESG 국제심사원] ESG 생태계에 대한 이해 Ⅰ ESG 생태계에 대한 이해 2019년 8월 세계경제포럼(WEF)에서는 복잡한 ESG 생태계에 대한 명확하고 투명한 이해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투자자, 기업 및 기타 관련 주체들로 구성된 ESG Ecosystem Map을 개발했습니다. 이 장에서는 이 Ecosystem Map을 ESG 생태계에 관한 기본 가이드로 참고하여 현재 및 향후에 국내에서 유의미한 글로벌 기관 및 이니셔티브를 소개합니다. ESG Ecosystem map 키워드 보기 1. 글로벌 표준화 기관 1) GHG Protocol (Greenhouse Gas Protocol) Homepage | GHG Protocol More than 9 out of 10 Fortune 500 companies reporting to CDP use GHG Pro.. 2023. 11. 21. ESG 국내 8대 동향 [ISO/IEC 17024 ESG 국제심사원] 1. 금융위원회 ESG 정보공개 의무화 금융위원회가 기업의 ESG 정보 공개를 의무화했다. 지속가능경영 보고서와 기업지배구조 보고서를 의무적으로 공개하도록 하면서다. 먼저 자산총액 2조 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들만 의무적으로 공시해야 했던 기업지배구조 보고서의 경우 2022년부터 1조 원 이상, 2024년부터 5,000억 원 이상, 2026년부터 전체 코스피 상장사로 공개 범위가 확대된다. 환경·사회 정보를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도 의무화될 예정이다. 매년 100여 개 기업 정도가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간해 왔지만, 거래소에 보고서를 공개하는 기업은 20개에 불과했다. 이에 2025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부터 의무적으로 ESG 정보를 공개하고, 2030년 이후에는 전체 코스피 상장사로 확대.. 2023. 11. 20. 취업준비 Start~!!! ESG 관련 주요 용어 1편 [ISO ESG 국제심사원] 1. ESG 관련 주요 용어 1) 그리드 패리티 Grid Parity 전기 생산에 있어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하는 비용이 화력발전 에너지를 생산하는 비용과 같아지거나 저렴해지는 지점을 의미한다. 신재생에너지의 경제적 실현 가능성을 결정할 때 고려되는 요소이다. 2) 그린스완 Green Swan 나심 N. 탈레브의 ‘블랙스완’을 기후위기에 빗댄 용어로, 급격 한 기후변화로 인한 금융위기의 명백한 발생 가능성을 지칭 한다. 각국 중앙은행 협력기구인 국제결제은행(BIS)은 2020년 1월 발간한 보고서 을 통해, 기후변화가 환경과 사회를 위협하고 실물경제 위기를 발생시켜 종국에는 금융위기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그린스완을 분석해 관리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3) 그린워싱/ 위장환경주의 Greenwashing ESG.. 2023. 10. 29.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