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SG181

[ISO ISO 9001 심사원보/IEC 17024 ESG 심사원보] <PART 2> 13편 - 금융기관의 ESG전략과 지원정책 13편 - 금융기관의 ESG전략과 지원정책 1. ESG 기후금융의 원년, 2021 글로벌 ESG 투자자산은 2020년 40.5조 달러에 이르렀고 2030년에는 130 조 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다. ESG는 투자결정의 핵심이 되었으며 글로벌 금 융기관의 투자규모는 특히 2021년 들어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의 금융 역시 ESG의 경영 내재화가 시작되어 2021년에는 국내 100여 개 금융기관이 모여 기후금융지지선언식을 하였다. 이제 국내의 모든 금융 기관이 ESG 전담조직을 신설하면서 2021년은 ESG, 기후금융(녹색금융)의 원년으로 자리매김하였다. 2. ESG 금융 방식 ESG 금융이 실제로 가시화되는 방식은 크게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먼 저 ESG 평가기관들의 평가결과가 금융에 반.. 2023. 12. 14.
<PART 2> 12편 - 중소.중견기업의 지속가능 금융[ISO/IEC 17024 ESG 심사원/ ISO 19011 심사원보] 12편 - 중소.중견기업의 지속가능 금융 1. ESG와 녹색전환 2020년 이후의 ESG는 궁극적으로 녹색전환을 독려하기 위한 수단 또는 저 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볼 수 있다. 즉 ESG를 잘 관리한다는 것은 경제·사회의 발전과 기업 생존이라는 측면도 있지만 비즈 니스의 녹색전환 촉진을 위해 ESG를 통해 규제·지원한다는 측면도 있다. 따라서 중소·중견기업은 이를 이해하고 빠르게 대비해나가야 한다. ● P4G 서울녹색미래정상회의 2021 P4G(Partnering for Green Growth and the Global Goals 2030) 서울선언문에서도 금융 관련 내용들이 언급되었다. 월드뱅크는 향후 5년 간 총 지원금의 35%를 기후효과가 있는 사업에 투자할 것이라 밝혔고,.. 2023. 12. 13.
[ISO/IEC ESG 심사원/ ISO 14001 심사원보] <PART 2> 11편 - ESG 경영의 주요 이슈, 금융. 공급망. 보고서 11편 - ESG 경영의 주요 이슈, 금융. 공급망. 보고서 각국 정부에서는 수준 높은 지속가능금융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강력하게 구체화·규제화하고 있다. 이제 자본의 흐름은 텍소노미(Taxonomy)에 부합되는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로 향하고 있다. 국내 중소·중견기업들도 대기업과의 ESG 협력 활동과 공시 및 보고서 작성을 통해 내부 시스템 개선 및 역량 강화에 힘써야 할 때이다. 1. 국내외 ESG 금융 동향 1) TCFD 권고사항 2017년 FSB(금융안정위원회)가 발표한 TCFD 권고안은 기후변화를 재무 영역에 통합하는 활동을 주류화시킨 가장 강력한 표준이다. TCFD 권고안 의 4가지 핵심요소는 거버넌스, 전략, 리스크 관리, 매트릭스다. 2021년 7 월 기준 2,366개 글로벌 기관이 TCFD .. 2023. 12. 12.
<PART 1> 10편 - ESG 경영과 기업 리스크 관리 [ISO/IEC ESG 심사원/ ISO 9001 심사원보] 10편 - ESG 경영과 기업 리스크 관리 1.ESG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 리스크 관리란 기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와 관련된 리 스크 또는 기회라고 정의할 수 있다. 최근 글로벌 리스크와 투자자의 관심, 정보공개 및 규제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기업의 리스크 관리는 매우 중요 해지는 추세이다. 1) 글로벌 리스크의 증가 2021년 세계경제포럼은 경제, 환경, 지정학, 사회, 기술 등 5개 영역에서 가장 주의해야 할 글로벌 리스크를 예측하였다. 현존하는 위험으로는 감염병 확산, 생계 위기, 극심한 기후변화 등 사회나 환경 리스크가 상위에 랭크되었다. 또한 3~5년 내의 위험으로는 자 산 버블 증폭, 물가불안, 원자재 가격 충격, 부채위기 등 중소·중견기업이 우려할만한 리 스크가 다수.. 2023. 12. 11.
[ISO/IEC ESG 심사원/ ISO 19011 심사원보] <PART 1> 9편 - ESG 관련시장의 변화와 마케팅 전략 9편 - ESG 관련시장의 변화와 마케팅 전략 1. ESG 경영의 등장 배경 2021년 전경련에서 발표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500대 기업의 CEO 가운데 66.3%는 ESG에 관심이 많으며, 10대 기업 가운데 7개 기업이 이미 ESG위원회를 설치하고 있다. ESG 경영은 필연적인 시대적 요구가 되 었다. 이러한 ESG의 등장 배경은 경영학, 경제학, 마케팅 등의 3가지 관점 에서 설명할 수 있다. ‘생산개념의 시대’에는 2차산업과 함께 공산품에 대한 수요가 공급을 압도 하면서 기업의 경영은 비용절감, 효율적인 생산성에 집중되었다. 하지만 경 쟁이 치열해지면서 기업들이 성능, 속성, 품질 등 차별화된 제품에 관심을 두는 ‘제품개념의 시대’가 열린다. 이후 판매와 서비스의 중요성을 인식하면 서 체.. 2023. 12. 11.
<PART 1> 8편 - ESG 정보공시 및 기업평가 [ISO/IEC ESG 심사원/ ISO 14001 심사원보] 8편 - ESG 정보공시 및 기업평가 1. ESG 공시체계 ESG 공시는 항목별 공시와 준수상황 공시의 2가지 방법이 병존한다. 항목 별 공시는 전통적인 의무공시의 한 방법이고, 준수상황 공시는 영국에서 시 작된 원칙 중심 공시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1) 항목별 공시(Line Item Disclosure) 이사회현황, 임원구성, 각종 위원회의 구성 및 의결사항 등 항목별 현황(Fact)을 정하고, 그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공시하는 방법이다. 다만 사업보고서, 주요사항보고서는 허위공시나 중요정보 누락 등의 부실공시를 할 경우 엄격한 법적 책임이 따른다. 또한 수시공시는 불성실공시로 벌점이 누적될 경우 관리종 목 지정, 상장폐지까지도 가능하다. 2) 준수상황 공시 모범규준을 정해놓고 그에.. 2023. 12.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