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SG경영보고서32

[ESG 이니셔티브 및 기관] 주요 용어 3편 [ISO ESG 국제심사원] 1. ESG 관련 주요 용어 21) 탄소중립 (Carbon Neutrality)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만큼 흡수해 실질적인 배출량을 제로(0) 로 만든다는 의미다. 협의의 개념으로는 순 배출량 자체를 제로로 만드는 것을 의미하지만, 잔류 배출을 허용하되 배출한 만큼 상쇄하여 실질 배출량을 제로로 만드는 광의의 개념으로 더욱 널리 쓰인다. 한국 정부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네이버,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몇몇 기업은 탄소 중립을 넘어 ‘탄소 네거티브(carbon negative)’를 선언하기도 했다. 탄소 네거티브란 현재까지의 배출량 이상으로 이산화탄소를 흡수해서 실질적 배출량을 ‘마이너스’로 만든다는 개념으로, 탄소중립보다 진일보한 조치로 평가된다. 22) 탈탄소화 (D.. 2023. 11. 5.
ESG경영 필수 용어 2편 [ISO 17024 ESG 인증심사원] 1. ESG 관련 주요 용어 11) 중대성/중요성 (Materiality)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관련해 가장 중요한 이슈가 무엇인지를 식별해 지속가능경영 보고서에 표시하는 개념이다. GRI, SASB 등 지속가능성 표준에서 제시하는 개념을 참고할 수 있다. GRI에 따르면 중대성 이슈를 선정할 때 기업이 경제·환경·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거나 이해관계자의 평가, 또는 의사결정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이슈를 고려해야 한다. SASB는 기업에 재무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은 지속가능성 요인을 중대성 이슈로 정의하며, 77개 산업별 중대성 이슈를 제공한다. 기업에서는 일반적으로 글로벌 가이드라인과 국내외 동향 분석, 이해관계자 설문 및 인터뷰 등을 토대로 핵심 중대성 이슈를 결정한다. ※ D.. 2023. 11.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