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SG경영보고서32

PART 2. ESG 관점의 거버넌스 관리 2편[E.S.G의 G(overnance)] PART 2. ESG 관점의 거버넌스 관리 2편 3. 거버넌스 관리 이슈와 포인트 5) 구성원 및 조직 운영 (1) ESG 관리 이슈 이사회와 경영진이 지속가능경영 실천에 적극적이라고 해도 실무 현장 의 분위기는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구성원들이 ESG와 지속가능경영을 잘 이 해하고 실천의 필요성을 인지할 때, 지속가능경영의 성과를 얻을 수 있다. 구 성원 및 조직 운영과 문화에 지속가능경영을 통합하여 기업 운영과 비즈니스 전체에 지속가능경영을 내재화하는 것이 ‘구성원 및 조직운영’ 영역의 중요한 ESG 이슈이다. (2) 관리 포인트 • 실무자 중심 ESG거버넌스 체계 구축 • 지속가능경영 원칙 및 정책 실행 • 구성원 ESG 인식개선, 실무역량강화 • ESG 캠페인, 프로젝트, 프로그램 실행 • 구성.. 2023. 12. 3.
[E.S.G의 G(overnance)] PART 2. ESG 관점의 거버넌스 관리 1편 PART 2. ESG 관점의 거버넌스 관리 1편 1. ESG 거버넌스 관리 MAP 2. 비전체계 1) 지속가능경영 비전체계 SUSTAINABLE MANAGEMENT VISION SYSTEM 기업 거버넌스에서 는 목적지가 표시되어 있는 ‘지도’와 지 도의 방향을 가늠하는 ‘나침반’의 역할을 한다. 지속가능경영, ESG의 는 기업이 지속가능경영을 하는 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밝히고, 을 달성했을 때 우리 기업은 어떤 모습이 될 것인지에 대한 을 명확 히 제시하며, 그 을 달성하기 위해 해야 할 일 을 구체적으로 나 타내야 한다. 2) 목적 PURPOSE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리베카 헨더슨(Rebecca Henderson) 교수는 「자본주의 대전환」에서 낮은 목적(Low purpose)을 가진 기업과 높은 목.. 2023. 12. 2.
[ESG 심사원 국제자격증은 노후준비에 도움이 될까요~???]E.S.G의 G(overnance) PART 1. 거버넌스의 이해 2편 E.S.G의 G(overnance) PART 1. 거버넌스의 이해 2편 4. ESG 거버넌스 글로벌 동향과 주요 이슈 4-1. 기업 거버넌스 글로벌 동향 1) 국제기구 / 글로벌 가이드라인 (1) UN / UNGC _ 기후위기 공동 대응을 위한 리더십 요구 2022년 7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페터스베르크 기후회담에서 안토니우 구테 흐스(António Guterres) UN사무총장은 2015년 파리기후협약 이후 이제까지 의 기후위기 대응은 실패에 가깝다고 평가하며 “집단 행동(공동대응) 또는 집단 자살”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순간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온실가스 배출이 많은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방식으로 기술과 비즈니스 를 혁신해야 하며, UN SDGs의 실천 의무와 책임이 .. 2023. 12. 2.
E.S.G의 G(overnance) PART 1. 거버넌스의 이해 1편 [ESG 국제심사원 국제자격증은 취업에 도움이 될까요???] E.S.G의 G(overnance) PART 1. 거버넌스의 이해 1편 1. 거버넌스 정의와 굿 거버넌스 1-1. 거버넌스의 정의 1) 어원 kubernáo (그리스어) 배를 조종한다 / 플라톤 2) 학문적 정의 2-1) Kooiman & Vliet, 1993 공식적인 권위 없이도 다양한 행위자들이 자율적으로 호혜적인 상호의존성에 기반을 두어 협력하도록 하는 제도 및 조정형태 2-2) Keohane & Nye, 2000 조직의 집단적 활동을 이끌고 제약하는 공식 혹은 비공식적 과정과 제도들 3) 국제기구의 정의 3-1) 유엔개발계획 UNDP, 1997 모든 수준에서 세계와 국가의 문제를 관리하기 위한 경제적, 정치적, 행정적 권 한의 행사이며 시민과 집단이 그들의 이익을 분명히 하고, 법적 권리를 행사하.. 2023. 12. 1.
[ESG 경영심사는 ESG 국제심사원이 할 수 있습니다~!!!] E.S.G의 S(ocial) DE&I Focused PART 1편 PART 3. S(ocial) DE&I Focused 1편 1. 다양성 비율 의무화하는 글로벌 투자사 증가 블랙록, 뱅가드, SSGA 등 전 세계 3대 자산운용사는 모두 2021년 ‘이사회 다양성(board diver sity)’을 강조하고 나섰다. 특히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이 발간한 「2021년 스튜어드십코드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블랙록은 자신들이 투자한 기업에 이사회의 인종, 성별 구성 현황뿐 아니라 다양성을 제고하는 방안에 대한 보고서를 요구했다. 미국뿐 아니라 유럽과 아시아 기업에도 적용하 기로 했으며, 이에 반하는 경우 이사 선임에 반대표를 행사하는 등 주주권을 적극 행사할 방침이다. 노르웨이국부펀드는 1조 3,000억 달러(약 1,500조 원)를 투자하고, 전 세계 9,200개 기업.. 2023. 11. 30.
E.S.G의 S(ocial) 체크리스트 PART [ESG 국제심사원 자격증을 취득하면 <회사의 ESG 내부감사>를 할 수 있다네요~!!!] PART 3. S(ocial) 체크리스트 편 1. 글로벌 표준의 S 핵심지표 분석 앞서 ‘글로벌 주요 가이드라인’에서 정리된 바와 같이, S 영역의 대표적인 글로벌 기준과 원칙, 목표 로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GRI 400(GRI 사회적 영향에 대한 가이드라인), UNGC 10대원칙, ISO 26000, SA 8000 등이 있다. 한편, 국내 대표 가이드라인으로는 BSR 가이드라인, K-ESG, 한국기업지배구조원 ESG 평가지표를 꼽을 수 있다. 이 같은 국내외 S 가이드라인에서 책임을 가져야 할 공통 대상은 직원, 공급망(협력업체), 소비 자, 지역사회, 규제 집단이었으며, 이들에 대한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DE&I)을 보장하는 것이 핵 심이다. 먼저, 가이드라인에서 직원에 대해 요구하는 .. 2023. 11. 29.
반응형